[Java] 카드 뭉치

2025. 3. 11. 10:45·CodingTest/[프로그래머스] 자바
목차
  1. 1. 문제 설명
  2. (1) 문제 설명
  3. (2) 제한사항
  4. (3) 입출력 예
  5. 2. 문제 접근 방식
  6. (1) 문제 이해
  7. (2) 해결 방법 선택
  8. (3) 문제 해결 과정
  9. 3. 코드 분석
  10. (1) 전체 코드
  11. (2) 코드 분석

1. 문제 설명


(1) 문제 설명


코니는 영어 단어가 적힌 카드 뭉치 두 개를 선물로 받았습니다. 코니는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카드에 적힌 단어들을 사용해 원하는 순서의 단어 배열을 만들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.

  • 원하는 카드 뭉치에서 카드를 순서대로 한 장씩 사용합니다.
  • 한 번 사용한 카드는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  •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다음 카드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.
  • 기존에 주어진 카드 뭉치의 단어 순서는 바꿀 수 없습니다.

예를 들어 첫 번째 카드 뭉치에 순서대로 ["i", "drink", "water"],

두 번째 카드 뭉치에 순서대로 ["want", "to"]가 적혀있을 때

["i", "want", "to", "drink", "water"] 순서의 단어 배열을 만들려고 한다면

첫 번째 카드 뭉치에서 "i"를 사용한 후 두 번째 카드 뭉치에서 "want"와 "to"를 사용하고

첫 번째 카드뭉치에 "drink"와 "water"를 차례대로 사용하면 원하는 순서의 단어 배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문자열로 이루어진 배열 cards1, cards2와 원하는 단어 배열 goal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 

cards1과 cards2에 적힌 단어들로 goal를 만들 있다면 "Yes"를,

만들 수 없다면 "No"를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 

 

 

(2) 제한사항


  • 1 ≤ cards1의 길이, cards2의 길이 ≤ 10
    • 1 ≤ cards1[i]의 길이, cards2[i]의 길이 ≤ 10
    • cards1과 cards2에는 서로 다른 단어만 존재합니다.
  • 2 ≤ goal의 길이 ≤ cards1의 길이 + cards2의 길이
    • 1 ≤ goal[i]의 길이 ≤ 10
    • goal의 원소는 cards1과 cards2의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• cards1, cards2, goal의 문자열들은 모두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
 

 

 

(3) 입출력 예


cards1 cards2 goal result
["i", "drink", "water"] ["want", "to"] ["i", "want", "to", "drink", "water"] "Yes"
["i", "water", "drink"] ["want", "to"] ["i", "want", "to", "drink", "water"] "No"

 

 

 

2. 문제 접근 방식


(1) 문제 이해


두 개의 카드 뭉치를 이용하여 주어진 단어 배열 goal을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.

각 카드 뭉치에서 순서대로 단어를 사용해야 하며, 사용한 카드는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
또한 카드를 건너 뛸 수 없습니다.

 

[주요 포인트]
goal의 단어들을 순서대로 확인하며 cards1 또는 cards2에서 올바르게 가져올 수 있는지 확인한다.
cards1, cards2는 각각 따로 순서를 유지해야 하며, 중간에 건너뛸 수 없다.
따라서, cards1과 cards2를 각각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검사하면서 goal을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.

 

 

 

(2) 해결 방법 선택


배열(Array) vs 스택(Stack) vs 큐(Queue)

자료 구조 사용 가능 여부 이유
배열(Array) ❌ 비효율적 앞에서부터 단어를 순차적으로 제거하기에
시간이 오래 걸림
스택(Stack) ❌ 사용 불가능 후입 선출(LIFO)이므로,
순서를 유지해야하는 문제에서 적절하지 않음
큐(Queue) ✅ 적절 선입 선출(FIFO)이므로,
앞에서 차례로 단어를 제거하며 진행 가능

 

 

 

(3) 문제 해결 과정


1️⃣ cards1, cards2를 각각 Queue로 변환

→ poll()을 사용하여 앞에서부터 단어를 차례대로 제거하며 진행

 

2️⃣ goal을 앞에서부터 하나씩 확인하면서 cards1 또는 cards2에서 해당 단어가 존재하는지 체크

• goal의 현재 단어가 queue1 맨 앞 단어와 같다면 → poll()하여 제거

• goal의 현재 단어가 queue2 맨 앞 단어와 같다면 → poll()하여 제거

• 둘 다 아니라면 → “No” 반환

 

3️⃣ 모든 단어를 순서대로 확인한 후 끝까지 도달하면 “Yes” 반환

 

 

 

3. 코드 분석


(1) 전체 코드

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String solution(String[] cards1, String[] cards2, String[] goal) {
Queue<String> queue1 = new LinkedList<>(Arrays.asList(cards1));
Queue<String> queue2 = new LinkedList<>(Arrays.asList(cards2));
for (String word : goal) {
if (!queue1.isEmpty() && queue1.peek().equals(word)) {
queue1.poll();
} else if (!queue2.isEmpty() && queue2.peek().equals(word)) {
queue2.poll();
} else {
return "No";
}
}
return "Yes";
}
}

 

 

 

(2) 코드 분석


🔍 Queue를 사용한 이유

Queue<String> queue1 = new LinkedList<>(Arrays.asList(cards1));
Queue<String> queue2 = new LinkedList<>(Arrays.asList(cards2));

 

Queue<String>

1. 카드 뭉치에서 단어를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사용해야 하므로 FIFO(First-In-First-Out, 선입선출) 구조가 필요합니다.

2. Queue를 사용하면 poll()을 통해 앞쪽 요소를 제거하면서 진행할 수 있어 순차적인 처리가 편리합니다.

 

Arrays.asList(cards2)

배열(String[])을 리스트(List<String>)으로 변환하는 메소드로,

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ArrayList 형태의 고정 크기 리스트를 반환한다.

 

 

🔍 goal을 순회하며 단어를 확인

for (String word : goal) {

goal 배열을 하나씩 순회하며, 원하는 단어 배열을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한다.

 

 

🔍 현재 단어가 queue1이나 queue2의 맨 앞 요소와 같은지 확인

if (!queue1.isEmpty() && queue1.peek().equals(word)) {
queue1.poll();

queue1이 비어 있지 않고 queue1의 맨 앞 단어(peek())가 goal의 현재 단어와 같다면,

poll()을 사용하여 해당 단어를 제거하고 다음 단어로 진행합니다.

 

} else if (!queue2.isEmpty() && queue2.peek().equals(word)) {
queue2.poll();

queue1에 원하는 단어가 없을 경우 queue2를 확인합니다.

queue2의 맨 앞 단어가 현재 단어와 같다면 제거(poll())합니다.

 

 

 

🔍 단어를 찾을 수 없는 경우

} else {
return "No";
}

queue1과 queue2 어느 곳에서도 현재 goal의 단어를 찾을 수 없다면 goal을 만들 수 없으므로 "No" 반환합니다.

 

 

 

🔍 모든 단어를 순서대로 확인한 경우

return "Yes";

모든 단어를 순서대로 만들 수 있다면 "Yes"를 반환합니다.

 

 

 

728x90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  1. 1. 문제 설명
  2. (1) 문제 설명
  3. (2) 제한사항
  4. (3) 입출력 예
  5. 2. 문제 접근 방식
  6. (1) 문제 이해
  7. (2) 해결 방법 선택
  8. (3) 문제 해결 과정
  9. 3. 코드 분석
  10. (1) 전체 코드
  11. (2) 코드 분석
'CodingTest/[프로그래머스] 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Java] 과일 장수
  • [Java] 푸드 파이트 대회
  • [Java]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
  • [Java] 두 개 뽑아서 더하기
leonie.
leonie.
  • leonie.
    leveloper
    leonie.
  • 글쓰기 관리
  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  • Language
        • Java
      • Git
      • CS
      • CodingTest
        • [프로그래머스] 자바
      • Information
      • Framework
        • Spring
      • DBMS
        • Redis
        • SQL
      • AWS
      • OS
        • Mac
      • 자격증
        • 정보처리기사
      • 회고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  알고리즘
    코딩테스트
    정처기필기
    프로그래머스
    스프링
    정보처리기사
    정처기
    springboot
    자바
    Java
  • 최근 댓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leonie.
[Java] 카드 뭉치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